반응형

2025/01 16

정말 좋은 회사 고르는 법

누구나 취업을 준비할 때 좋은 회사를 고르고 싶어 합니다.물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좋은 회사'는 돈 많이 주고 보상이 확실한 대기업이겠지만, 모두가 대기업을 갈 수 있는건 아니잖아요?하지만, 대기업이 아니더라도 좋은 회사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가치를 어디에 두느냐에 달린 부분이죠.요즘처럼 취업이 어려운 시기에는 더더욱 중요하니 꼭 읽어보세요!"왜 우리 회사에 지원하셨나요?"아마도 면접에서 "지원자님은 왜 우리 회사에 지원하셨나요?"라는 질문을 받아보셨거나, 어딘가에서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당연히 돈 벌려고 왔죠!'라는 말은 차마 하지 못하고, 다른 이유를 대기 위해 노력해 본 적이 있으신가요?사실 이 질문을 하는 이유가 바로 좋은 회사를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만약 지원..

생각 정리 2025.01.31

이력서 작성, 이것부터 보세요!

많은 사람들이 돈을 벌기 위해 취업하거나 이직합니다.그런데 이 과정에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이력서 작성이죠!이력서를 쓰는 방법에 대한 글은 많지만, 막상 "내가 어떻게 적어야 할지"는 감이 안 잡힐 때가 많아요.그래서 이력서 작성의 핵심을 간결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았습니다. 이력서는 왜 적는 걸까?간단합니다. 좋은 사람을 채용하려고!정확히는 우리가 원하는 사람을 적은 비용으로 채용하고,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입니다. 기업은 문제를 해결하며 가치를 창출하는 집단입니다.그러기 위해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고, 이력서는 그 문제 해결을 잘할 수 있는 사람인지 판단하기 위한 첫 단계입니다.쉽게 말해, 이력서는 내가 가진 능력과 경험을 통해 "내가 이 문제를 잘 해..

생각 정리 2025.01.27

신입 개발자의 대규모 트래픽 경험? 이런걸 원합니다.

개발자라면 많은 트래픽을 받아보고 싶은 분들이 많을텐데요,정작 신입 이력서에서 요구하는 대규모 트래픽 경험을 도대체 어디서 얻을 수 있는지는 알기가 어렵습니다.기업에서 신입에게 어느정도의 선을 요구할지, 좀 더 명확하게 차근차근 알려드리겠습니다.당연하게도, 가장 이상적인건 직접 경험하는 것당연히 대규모 트래픽을 직접 경험해보았다면 가장 이상적이겠지만,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이런 대답을 원한게 아닐 것이라는 것쯤은 알고있습니다.그렇다면, 왜 이게 가장 이상적일지 생각해보신적이 있을까요?깊게 생각해보지는 않고 "단순히 동일한 경험이니까." 정도로 치부할게 아니라,대규모 트래픽을 경험해봤다는 것의 실제 의미는 시스템 운영 중에 트래픽으로 인한 부하가 될만한 지점(병목지점)을 인지하고 개선하는 것입니다.당연히 ..

항상 생각하면, 해결할 수 있다.

우리는 문제를 해결하거나, 선택을 할 때, 또는 다른 사람과 대화를 나눌 때 생각을 합니다.그렇다면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생각해보신적이 있으신가요?예를 들어, 밥을 먹을 때나 길을 걷다가, 심지어 청소를 할 때 말이죠.단순한 상황에도 생각해보자우리는 일상에서 별다른 생각을 하지 않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러나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생각을 한다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식사를 하면서 '이 맛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또는 '이 카페의 인테리어는 어떤 목적을 가지고 디자인했을까?'라는 생각도 해볼 수 있습니다.이런 작은 호기심에서부터 새로운 배움이 시작됩니다.물론, 이런 새로운 배움에서 오는 재미도 있지만 생각을 해야하는 더욱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바로 평소에 해결해야하는 중요한 문제..

생각 정리 2025.01.20

자주 불안하다면, 읽어보세요!

대부분의 불안은 자신이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걸 알려주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저 불안감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습니다.그러나, 불안감이 있는 경우 많은 스트레스와 함께 자신의 모든 역량이 저하되는데, 이를 위해서라도 불안감을 컨트롤하는 방법을 이해해보세요.불안감의 종류에는 두 가지, "막연한 불안"과" 두려움에 의한 불안 "이 있습니다. 막연한 불안막연한 불안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에서부터 출발합니다.길을 걷다가 상대방 실수로 교통사고가 나면 어떡하지?회사 발표에서 무슨 일이 생기면 어떡하지?여행 중에 비행기가 연착되면 어떡하지?이런 불안감들은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한 걱정에서부터 발생합니다.문제는, 이 불안들은 아무리 노력해도 "완벽한 제거가 불가능" 하다는 점입니..

생각 정리 2025.01.19

혼자 할 수 있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예전에 지인의 고민상담을 해드린적이 있습니다.저는 프로젝트의 개발팀장(A)으로써 목표를 완수하기 위해서 개발팀의 업무를 잘 정리하고, 일정과 해야할 일을 분배하했습니다.같이 협업하는 기획자(B)는 한명이 있는데, 시간안에 일정을 마치지 못해 계속 요청하고 있었구요.그런데 기획자가 저로 인해 힘들어서 리더와 상담을 했다고 합니다.뭐가 잘못된걸까요?사실 회사에서는 각각의 역할을 부여받고, 모두가 각각의 역할에서 문제해결을 하기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여기서 당사자는 프로젝트의 개발팀장으로써 해야할 일을 잘 하고 있다보 보여지는데, 기획자는 왜 이 개발팀장으로 인해 힘들다고 할까요?사실 A와 B가 모두 자신의 역할을 100% 해낸다면, 문제는 없었을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해당 프로젝트는 새로운 업무에 대한 일정..

생각 정리 2025.01.18

당신은 아직 주인공이 아니다.

저는 어릴 때부터 눈치를 많이 보던 사람이었습니다.어떤 일을 시작하기 전에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이 있었죠.다른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이 작은 생각이 제 태도를 굉장히 수동적이고, 주저하게 만들었습니다.많은 사람들이 남의 시선을 신경쓰며 살아가고 있습니다.다른 사람이 나를 나쁘게 생각하면 어떡하지? 라는 생각이 큰 이유겠죠.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당신에게 큰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이 말은 부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오히려 자유를 얻을 수 있는 말입니다.남의 눈치를 보느라 주저하기보다는 하고싶어하는 일에 도전할 수 있게 해주는 말이죠.나를 향한 관심은 생각보다 적다먼저 내 주변의 사람들을 생각해봅니다.혹시 자신이 원하는 대로 사는데 불편한 경우가 있었을까요?내게 피해를 주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그런 ..

생각 정리 2025.01.16

마인드의 차이와 성과의 관계

개발자로 일하다 보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마주하는 순간이 많습니다.특히 원인이 불명확하거나, 여러 시스템 간 상호작용에서 특정 조건에서만 문제가 발생할 때는 어떻게 접근할지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때 중요한 것이 바로 '마인드셋'입니다.그렇다면 문제 해결의 성과는 마인드셋에 얼마나 영향을 받을까요? 실제로 우리의 태도가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마인드셋과 성과의 관계제가 아는 한 개발자는 항상 부정적인 태도로 일을 했습니다.그가 자주 했던 말은 "결과적으로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었죠.문제를 조금 들여다보기도 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고, 그럴 때마다 해결할 수 있었던 기회도 놓치곤 했습니다.어느 날, 특정 라이브러리 사용 중 원인 불명의 화면 멈춤 현상이 ..

생각 정리 2025.01.14

알잘딱깔센이 되는 법

"알잘딱깔센"이라는 용어는 흔히 일을 센스있게 잘 하는 사람에게 이야기한다.회사에서 팀장에게 칭찬을 받는 팀원들은 "팀장이 원하는 것"을 빠르게 파악하고, 미리 처리하거나 깔끔하게 처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그렇다면, 알잘딱깔센의 비결은 무엇일까요? 바로 관점에 있습니다.알잘딱깔센이 되기위한 중요 키워드: 관점회사에서 일을 하다 보면, 동일한 상황을 여러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많은 기회가 있습니다.하지만 일을 잘 못하는 분들은 이런 관점을 생각하기보다는 자신의 주관만을 믿고 진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같은 이야기라도 누구의 입장에서 보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자신의 관점, 팀장의 관점, 오너의 관점, 그리고 고객사의 관점은 각각의 이해와 해석이 다릅니다.예를 들어, 프로젝트의 일..

생각 정리 2025.01.13

성장을 위해선 생각해야 한다.

내가 지금까지 거쳐온 회사는 지방의 작은 소기업부터 중소기업, 정부기관 파견, 그리고 판교의 서비스 기업까지 정말 다양하다.일반적인 관점에서는 판교의 서비스 기업이 성장의 기회와 배울 것이 가장 많을 것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내 경험은 조금 달랐다.어디서 가장 중요한 것을 배웠냐고 묻는다면 한 마디로 대답하기는 어렵지만, 가장 큰 교훈은 성장을 위해 '생각'이 필수적이라는 점이다.소기업에서의 성장: 시행착오신입 개발자로서 첫 발을 내딛었던 소기업.처음에는 단순히 "개발자가 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벅찼고, 내가 만든 코드를 통해 가치를 창출하고 돈을 번다는 것이 큰 자부심이었다.하지만 첫 번째 큰 프로젝트에서 현실의 벽을 마주쳤다.팀장이 제시한 요구사항을 맞추기 위해 매일 야근을 했지만 끝이 보이지 않았다..